Point of View

민희식
(주)케이웨딩컴퍼니 대표이사

레거시 미디어(Legacy Media)는 전통 언론의 유산을 물려받은 신문, 방송, 잡지 등을 뜻하며 한때 올드미디어로 불렸다. 이에 반해 온라인 기반의 미디어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통용됐던 뉴미디어는 인공지능(AI)을 탑재한 챗GPT(ChatGPT)의 출현 이후 올드미디어의 범위로 편입됐으나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용어가 됐다.
AI가 우리 일상생활에 깊이 파고들면서 미디어 환경은 급물살을 타고 있다. AI는 스스로 기사를 만드는 수준까지 발전했다. 스마트폰은 분초 단위로 출처를 알 수 없는 긴급 속보를 쏟아내며 동영상 플랫폼에서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들이 넘쳐난다. 수용자들은 객관적 진실보다 자신의 입맛에 맞게 가공된 확증·편향적 주장에 더 많은 지지와 성원을 보낸다. 이러한 폐해는 사회적 갈등과 혼란을 가중시키고 전쟁으로까지 이어지는 부작용을 낳는다.
AI 전문가들은 오래 전부터 스스로 학습해 진화하는 AI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왔다. 특히 진실과는 상관없이 말과 글을 세련되게 표현하는 대화형 AI의 기술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검증하고 필터링하는 일에 보다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그 결과 AI를 아예 없애자는 극단적인 제2의 러다이트(Luddite) 운동까지는 아니지만 레거시 미디어의 중요성이 새삼 부각되고 있다. 레거시 미디어, 즉 신뢰할 수 있는 언론기관이나 검증된 단체에서 발행하는 콘텐츠의 가치가 다시 재조명받는 것이다.
그동안 신문과 잡지 등 페이퍼 미디어는 사양 산업으로 몰락의 길을 걸어왔다. 특히 월 단위로 발행하는 잡지는 분초시대(分秒時代)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구시대 유물처럼 여겨졌다. 레거시를 표방한 전통 페이퍼 미디어도 시대의 조류에 따라 온라인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B급 감성의 온라인 환경에 적응하기란 쉽지 않았다. 하지만 무수히 많은 개인 방송이 동영상 플랫폼을 선점했고 레거시 미디어로의 회귀는 당연한 귀결이다. 검증 과정이 더디고 답답하더라도 진실과 정의를 지켜내는 과정은 사회정의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현대의 미디어 시장을 다시 페이퍼 시대로 되돌릴 수는 없다. 스마트폰으로 검색하던 기사를 번거롭게 종이에서 찾으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온·오프라인 상관없이 레거시 미디어의 공신력이 높아진다는 것이 중요하다. 요즘 대부분의 레거시 미디어들은 온·오프라인을 활용해 투 트랙으로 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종이는 아카이브로써, 디지털은 최첨단 기술을 탑재한 뉴스 송출자로써 전달력을 높여가고 있다.      
페이퍼 기반의 잡지가 디지털 환경 속에서 화려한 부활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심도 있는 통찰력을 꾸준히 견지해야 한다. 동시에 최첨단 온라인 시스템을 적극 수용해 독자들과의 친화력을 높여야 한다. 아무리 레거시 미디어가 페이퍼로부터 출발했다고 하지만 디지털 기술을 수용하지 않고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저작권자 © 월간 CEO&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