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Choice

와인은 전 세계 생산지를 기준으로 구세계(구대륙) 와인과 신세계(신대륙) 와인으로 구분된다. 구세계 와인은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등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유럽 국가에서 생산되는 것이며, 신세계 와인은 미국, 호주, 뉴질랜드, 칠레, 아르헨티나 등 신흥 생산국의 와인을 일컫는다. 이것은 지리적 위치뿐 아니라 와인 스타일과 양조, 마케팅까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대륙의 차이는 와인 스타일이 어떻게 다르고 소비자들이 맛이 어떻게 느끼는지 와인 개념을 설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때 지도를 보며 와인을 구분하기 보다는 포도가 재배되는 자연적인 환경인 떼루아(토양 및 기후 등)와 와인 양조 방법, 와인 특성 등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구세계 와인, 전통방식으로 빚어낸 독특한 맛과 향이 매력 
천 년 이상 걸쳐온 구세계 와인은 지역적인 특징, 음식과의 조화, 숙성의 잠재력을 높이기 위해 진화됐다. 유럽의 와인들은 척박한 환경의 거친 토양과 다양한 기후를 이겨낸 포도나무에서 최소 수확량의 포도를 양조해 얻은 산물이다. 좋은 와인을 만드는 양조 기술은 오랜 시행착오를 거쳐 발전했다. 자연 그대로를 유지하며 과학적인 논리보다는 장인정신으로 묵묵히 노력하고 전통적인 방법을 고수하며 이어가고 있다.  
와인에 대한 평가는 음식과의 조화에서 좋은 결과로 나타난다. 각 지역의 와인들은 신토불이 즉 토속 요리와 잘 맞도록 와인 스타일이 변화됐다. 그래서 구세계 와인의 가장 큰 특징은 각 와인마다 개성이 뚜렷하며 특히 최상급의 와인은 위대한 예술작품처럼 독특한 매력을 지녔다. 
이러한 지역적인 특징을 유지하기 위해 유럽에선 20세기에 들어서 와인산업 전반에 걸쳐 원산지 명칭을 통제하기 시작했다. 1930년대 프랑스에서 시작된 ‘원산지통제명칭(AOC)’ 시스템은 현재 유럽에 적용돼 와인 이름을 붙일 때 고유의 원산지명칭을 기재하고 규정에 의거해 품질을 관리하고 생산량을 제한하고 있다. 그로 인해 구세계 유럽 와인들은 우수한 품질을 유지하고 지역적인 개성과 특징을 발전시키고 있다.  

신세계 와인, 기술과 양조 방식의 변화 이뤄 
약 100~250년 전부터 유럽인이 소위 신세계라는 국가로 이주를 시작하면서 구세계의 포도 품종뿐만 아니라 와인 제조 노하우 역시 함께 이동했다. 유럽인은 아메리카 대륙과 남반구에 처음엔 진판델이나 무르베드르, 시라즈 품종 같은 생산성이 뛰어난 포도 위주로 재배했다. 반면에 몇몇 와인 생산자들은 와인 품질을 높이려고 프랑스 고급 포도인 샤르도네와 메를로, 까베르네 소비뇽을 심었지만 유럽에서 나던 포도 품질과는 조금 다른 결과를 얻게 됐다.  
신세계 포도밭에서 귀한 포도를 심어 놓아도 유럽처럼 잘 자라지 않고 양질의 포도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수준 높은 와인을 만들어 낼 포도 재배 및 양조 기술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기술 혁신과 양조 방식의 변화가 이뤄졌다. 신세계 와인 양조자들은 ’통제자’처럼 포도밭에 물을 대고 효모 품종을 골라 배양하는 것까지 합리적으로 계산해서 만들었다. 그래야 와인 양조에 실패 확률이 낮아지고 지속적인 품질 관리와 성공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세계 와인이 기술 혁신과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고급 와인들을 생산하고 있다. 한편 몇몇 생산자들은 점차 포도밭의 떼루아를 이해하고 이에 적응하는 포도 재배 및 양조 기술을 찾으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세계 와인에 나타나는 지역적인 특색이 신세계에서는 강하게 드러나지 않고 있다.

  새로운 와인 트렌드  
구·신세계 와인의 장점 도입  

최근에는 유럽 와인 생산자들이 신세계의 자유로운 방식으로 와인을 만들기도 하고 신세계 와인 생산자임에도 구세계의 전통주의를 추구하기도 한다. 구세계와 신세계는 한때 완전히 상반된 생산 지역의 와인이라고 여겨졌다. 하지만 요즘에는 전 세계적 와인 산업이 거대해졌으며 와인 업계의 상업주의로 인해 와인 스타일의 스펙트럼이 넓어지고 있다. 또한 초심자들이 과일즙이 풍부한 신세계 와인 스타일에 길들여졌기 때문에 유럽의 와인 메이커들도 전략을 바꾸고 있는 추세다. 와인 평론에 있어서도 두 산지에 대해 큰 차별을 두지 않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전 세계의 유사한 와인이 생산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만들었다. 한때는 와인이 어느 나라, 어느 지역에서 생산된 것인지 알고 있으면 그 맛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향과 맛으로만 원산지를 알기에는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신 트렌드인 내추럴 와인이나 명품 와인을 고집스러운 장인정신으로 생산하는 메이커들이 여전히 많이 존재하고 있다. 이들은 포도 심는 것부터 최종적으로 와인을 병에 담기까지 전통 방식을 유지하며 더 좋은 품질의 개성있는 와인을 생산하려고 노력해 와인 산업의 미래를 밝게 하고 있다.   
예전 방식으로 요약한 ‘구세계 와인과 신세계 와인 비교’는 일반적인 와인 생산 요건 및 특징으로 이해하면 된다. 구세계와 신세계의 많은 와인 메이커들이 중도를 향해 변화되어 가고 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와인들은 지역적인 개성과 특색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두 곳의 구체적인 와인 스타일은 와인의 종류, 가격, 등급 등 양조자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별도로 고려해야 한다. 다만 이번 컬럼이 두 지역 와인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안내 역할이 됐으면 한다. 

 

이달의  추천 와인

오리진 엥테그랄 
ORIGINES INTÉGRALE

튀띠악(Tutiac) 와인회사는 1974년 보르도 지역의 고급 와인 생산을 지향하는 소수의 와인 생산자들이 새로운 유형의 품질과 신개념 마케팅을 위해 조합형으로 합류하게 된다. 현대 양조 시설을 대거 투자한 이 협동조합에서는 지롱드(Gironde)강 언덕 꼬뜨 지역에서 재배되는 포도만 엄선하여 21세형 시그니처 보르도 와인을 탄생시킨다.

타입 레드 드라이  빈티지  2016
원산지 프랑스>보르도 > AOP
품종 메를로, 까베르네 소비뇽, 쁘띠 베르도
시음온도 14~15°C  알코올 13%
특징 
포도밭 떼루아와 포도 품종 특질을 최상으로 표현하는 오리진 컬렉션 와인은 포도밭 토양, 위치, 기후 등을 연구하고 가장 적합한 포도 품종을 선택해 재배하고 완숙된 포도만을 엄선해 양조하며 프랑스 오크 배럴에서 숙성한다. 양조자는 금세공인과 같이 명품을 만드는 장인정신으로 전통적 가치와 양조 기술을 바탕으로 떼루아를 잘 표현한 최고 품질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보르도 주요 품종인 메를로, 까베르네 소비뇽, 쁘띠 베르도 세 종류를 블랜딩한 완전한 합체 의미로 엥테그랄을 와인 명칭으로 정하게 됐다.
시음노트
Color 진한 가넷, 보랏빛 색상 Aroma 블랙 커런트, 자두향, 바닐라, 감초, 후츠 스파이스 아로마향 Plate 검붉은 과일향과 벨벳 같은 탄닌 그리고 볼륨감과 집중도가 뛰어나며, 탄닌과 아로마의 균형이 잘 잡혀 복합적이며 우아하다 Pairing 생등심구이, 갈빗살, 돼지목살, 양고기, 소시지, 치킨

 

한관규 
와인마케팅경영연구원 원장 

• 프랑스 보르도 와인 학교(Ecole du Vin du CIVB) 전문가 과정(Intensif Course Niveau I.II) 졸업  • 알리앙스 프랑세즈(Alliance Francaise) 대전·광주 지역 매니저  • 2009.6 보르도 쌩떼밀리옹 쥐라드(Jurade) 와인 기사 작위  • 1989.12~2009.6 주한프랑스대사관 경제상무관실, 상무관 (와인담당) 

 

저작권자 © 월간 CEO&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